

벌열(閥閱)
왕비(王妃)
순원왕후(純元王后)(조선
순조비(妃))
효현왕후(孝顯王后)(조선
헌종비(妃))
철인왕후(哲仁王后)(조선 철종비(妃))
상신(相臣)
김수항(金壽恒)(현종조ㆍ영의정(領議政))
김수흥(金壽興)(현종조ㆍ영의정(領議政))
김창집(金昌集)(숙종조ㆍ영의정(領議政))
김이소(金履素)(정조조ㆍ좌의정(左議政))
김달순(金達淳)(순조조ㆍ우의정(右議政))
김이교(金履喬)(순조조ㆍ우의정(右議政))
김좌근(金左根)(철종조ㆍ영의정(領議政))
김병시(金炳始)(고종조ㆍ영의정(領議政))
문형(文衡)
김창흡(金昌翕)(중종조)
김 무(金 碔)(중종조)
김수항(金壽恒)(현종조)
김수여(金壽與)(현종조)
김수증(金壽增)(현종조)
김창집(金昌集)(숙종조)
김창협(金昌協)(숙종조)
김득신(金得臣)(숙종조)
김창흡(金昌翕)(경종조)
김이소(金履素)(영종조)
김조순(金祖淳)(순조조)
김달순(金達淳)(순조조)
김이교(金履喬)(순조조)
김흥근(金興根)(순조조)
호당(湖堂)
김수항(金壽恒)
김창집(金昌集)
김제겸(金濟謙)
시호(諡號)
계행(係行, 定獻: 純行不爽曰定, 嚮忠內德曰獻)
상헌(尙憲, 文正: 勤學好問曰文, 以正服之曰正)
수항(壽恒, 文忠: 勤學好問曰文, 文廉方正曰忠)
창집(昌集, 忠獻: 危身奉上曰忠, 嚮忠內德曰獻)
제겸(濟謙, 忠愍: 事君盡節曰忠, 在國逢艱曰愍)
창협(昌協, 文簡: 道德博聞曰文, 一德不懈曰簡)
창흡(昌翕, 文康: 道德博聞曰文, 淵源流通曰康)
신겸(信謙, 文敬: 淸德博聞曰文, 夙夜敬戒曰敬)
성행(省行, 忠正: 危身奉上曰忠, 以正服之曰正)
영근(泳根, 孝貞: 慈惠愛親曰孝, 淸白守節曰貞)
문근(汶根, 忠純: 慮國忘家曰忠, 中正精粹曰純)
병필(炳弼, 孝貞: 慈惠愛親曰孝, 淸白自守曰貞)
유근( 根, 文貞: 勤學好問曰文, 淸白守節曰貞)
병주(炳疇, 孝文: 慈惠愛親曰孝, 勤學好問曰文)
조순(祖淳, 忠文: 慮國忘家曰忠, 勤學好問曰文)
병지(炳地, 孝貞: 慈惠愛親曰孝, 淸白自守曰貞)
좌근(左根, 忠翼: 事君盡節曰忠, 思慮深遠曰翼)
병기(炳冀, 文獻: 勤學好問曰文, 嚮忠內德曰獻)
홍근(弘根, 文翼: 勤學好問曰文, 思慮深遠曰翼)
응근(應根, 淸獻: 避遠不義曰淸, 嚮忠內德曰獻)
병시(炳始, 忠文: 危身奉上曰忠, 勤學好問曰文)
흥근(興根, 忠文: 事君盡節曰忠, 勤學好問曰文)
병덕(炳德, 文獻: 勤學好問曰文, 嚮忠內德曰獻)
이소(履素, 翼憲: 思慮深遠曰翼, 行善可紀曰憲)
조근(祖根, 孝簡: 慈惠愛親曰孝, 一德不懈曰簡)
난순(蘭淳, 孝文: 慈惠愛親曰孝, 勤學好問曰文)
이도(履度, 正獻: 以正服人曰正, 嚮忠內德曰獻)
보근(輔根, 文憲: 勤學好問曰文, 行善可紀曰憲)
원행(元行, 文敬: 道德博聞曰文, 夙夜儆戒曰敬)
병운(炳雲, 文靖: 勤學好問曰文, 寬樂令終曰靖)
병학(炳學, 文獻: 勤學好問曰文, 嚮忠內德曰獻)
수근(洙根, 正文: 以正服之曰正, 勤學好問曰文)
병국(炳國, 忠文: 事君盡節曰忠, 勤學好問曰文)
매순(邁淳, 文淸: 道德博聞曰文, 避遠不義曰淸)
이익(履翼, 簡獻: 正直無私曰簡, 嚮忠內德曰獻)
양행(亮行, 文簡: 道德博聞曰文, 一德不懈曰簡)
학순(學淳, 文簡: 勤學好問曰文, 正直無邪曰簡)
병주(炳疇, 孝貞: 慈惠愛親曰孝, 淸白自守曰貞)
수흥(壽興, 文翼: 忠信接禮曰文, 思慮深遠曰翼)
상용(尙容, 文忠: 忠信接禮曰文, 危身奉上曰忠)
시걸(時傑, 獻簡: 嚮忠內德曰獻, 一德不懈曰簡)
이교(履喬, 文貞: 忠信接禮曰文, 淸白自守曰貞)
이재(履載, 文簡: 勤學好問曰文, 正直無邪曰簡)
희순(羲淳, 文簡: 勤學好問曰文, 一德不懈曰簡)
광욱(光煜, 文貞: 勤學好問曰文, 淸白守節曰貞)
수익(壽翼, 忠景: 事君盡節曰忠, 守義不屈曰景)
시태(時泰, 忠毅: 危身奉上曰忠, 强而能斷曰毅)
시찬(時粲, 忠正: 廬國亡家日忠, 以正服之日正)
명규(明圭, 文: 勤學好問曰文, 寬樂, 金終日靖)
옥균(玉均, 忠達)
경연(經筵)
김창흡(金昌翕)(숙종조ㆍ진선(進善))
김원행(金元行)(영조조ㆍ찬선(贊善))
김양행(金亮行)(영조조ㆍ이참(吏參))
김이안(金履安)(정조조ㆍ찬선(贊善))
입기사(入耆社)
창집(昌集), 교근(敎根), 병교(炳喬),
좌근(左根), 흥근(興根), 난순(蘭淳)
이익(履翼), 학순(學淳), 학진(鶴鎭),
흥규(興圭), 갑균(甲均), 상용(尙容)
시근(蓍根), 양근(穰根), 이재(履載),
석근(晳根), 이양(履陽), 대근(大根)
병익(炳翊), 완근(完根), 종한(宗漢),
응균(應均), 광욱(光煜), 성근(聲根)
가진(嘉鎭)
청백리(淸白吏)
김상와(金商窩)(선조조)
김수항(金壽恒)(효종조)
김창흡(金昌翕)(경종조)
김두남(金斗南)(경종조)ㆍ헌납(獻納))
김창업(金昌業)(영조조)
김제겸(金濟謙)(영조조)
김이교(金履喬)(영조조)
김양행(金良行)(영조조)
김흥근(金興根)(순조조)
효행(孝行)
시좌(時佐: 旌閭), 경집(慶集: 旌閭), 수민(壽民: 旌閭), 황(
璜: 旌閭)
석진(錫鎭: 旌閭), 병종(炳鐘: 旌閭), 용근(龍根: 旌閭), 형한(馨漢: 褒狀)
정근(正根: 旌閭), 병형(炳衡: 旌閭), 지한(之漢: 褒 ), 진근(震根: 褒狀)
세정(世程: 旌閭), 상한(象漢: 儒狀), 여반(汝班: 旌閭), 성균(聖均: 旌閭)
여백(汝伯: 旌閭), 이원(履元: 旌閭), 성하(聖夏: 旌表), 제균(濟均: 旌閭)
여빈(汝彬: 旌閭), 성우(盛遇: 旌閭)
절의(節義)
김시태(金時泰)(경종(景宗)신임사화(申壬士禍))
김복한(金福漢)(한말구국운동(韓末救國運動) 및 순절제인(殉節諸人))
국가공훈(國家功勳)
1)공신(功臣)
영전(永銓); 좌리원종훈(佐理原從勳)
암호(巖虎): 갈성분의출기효력진무공신(竭誠奮義出氣 力振武功臣)
언기(彦紀): 선무원종2등공신(宣務原從二等功臣)
천익(天益): 무신분무원종1등공신(戊申奮武原從一等功臣)
상형(尙炯): 진무훈(振武勳)
수창(壽昌): 진무훈(振武勳)
광숙(光潚): 갈숙분위출기효력진무3등공신(竭誠奮威出氣 力振武三等功臣)(封東原君)
진원(震遠): 정난종훈(靖難從勳)
득성(得聲): 갈충효성병기익명녕사3등공신(竭忠 誠炳幾翊命寧社三等功臣)(封淸興君)
괄변2등공신(适 二等功臣)
원형(元珩): 괄난진무원종공신(适亂振武原從功臣)
한룡(漢龍): 양무원종공신(揚武原從功臣)
운규(運圭): 양무원종공신(揚武原從功臣)
취영(就英): 임진란 때 창의 (宣武勳)
2)창의(倡義)
경호(景虎): 임진란(壬辰亂) 창의
순절(殉節)
인상(麟祥): 임진란 때 창의
태( 兌): 임진란때 창의
계탁(啓鐸): 무신(戊申) 창의
복한(福漢): 의병장(義兵將) (건국훈장
국민장)
대규(大圭): 의병대장(을사합방시) (건국훈장
국민장)
3)독립운동
완규(完圭): 민족대표 33인중의 1인 (건국훈장복장)
영규(英圭): 3·1 독립운동시 피살 (건국훈장애국장)
태규(泰圭): 상해에서 교관으로 순직
덕진(德鎭): 항일운동 옥고 (건국표장)
석진(奭鎭): 한·일합방반대 음독순국 (건국훈장단장)
택진(澤鎭): 한·일합방우국(憂國) 절식(絶食)절사(節死)
가진(嘉鎭): 대한민국 임시정부 고문
정진(廷鎭): 독립운동가
좌진(佐鎭): 독립군 사령관 (건국훈장 중장)
종진(宗鎭): 독립운동가 (건국표장)
시진(時鎭): 독립투사
영한(永漢): 을미독립운동 순의(殉義)
의한(毅漢): 광복군 장령 (건국훈장 건국장)
수동(守東): 독립운동 순의
은동(殷東): 임시정부참여
경동(景東): 항일운동 순사
시현(始顯): 독립운동에 참여
정현(禎顯): 의열단원 (건국훈장 애족장)
장신(將臣)
김수흥(金壽興)(현종조ㆍ총융사(摠戎使))
김 흡(金 潝)(숙종조ㆍ
김조순(金祖淳)(순조조ㆍ금위대장(禁衛大將))
김조근(金祖根)(헌종조ㆍ금위대장(禁衛大將))
김좌근(金左根)(철종조ㆍ훈련대장(訓鍊大將))
김병시(金炳始)(고종조ㆍ도통사(都統使))
----------- 목 차 --------